티스토리 뷰

목차



    서민금융진흥원은 저소득·저신용 계층을 위한 정책상품인 미소금융의 누적 지원금액이 4조 원을 돌파했다고 발표했습니다.

     

    2009년 출시된 이래 미소금융은 한국의 대표적인 포용금융 사업으로 자리 잡았으며, 앞으로도 저소득층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역할을 더욱 강화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저소득 저신용 계층을 위한 미소금융 대출 조건 현황 및 신청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미소금융 대출 조건

     

     

    미소금융은 담보나 보증 없이 저리로 대출해 주는 제도로, 개인 신용평점과 소득이 낮아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기 어려운 서민들을 대상으로 합니다.

     

    창업자금, 시설·운영자금, 긴급생계자금, 금융 취약계층 자금 등 다양한 상품이 있으며, 전국 27개 지역법인을 통해 공급되고 있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

    미소금융의 현황 및 대출 신청 방법

     

     

    2023년 11월 기준, 미소금융의 누적 지원금액은 4조 6억원(34만 5359건)에 달합니다.

     

    이 중 창업자금은 5891억원, 시설·운영자금은 2조 7924억 원, 긴급생계자금은 2022억 원, 금융 취약계층 자금은 4169억 원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 미소금융 대출

     

    미소금융의 주요 대상은 영세 자영업자(57%), 여성(34%), 청년(17%)입니다. 지역별로는 서울(22%), 경기(16%), 충청남도(11%), 경상남도(10%) 순으로 지원금액이 많습니다.

     

    서민금융진흥원을 통해 미소금융 대출을 신청하시려면 서민금융진흥원 홈페이지 상담지원에서 전국미소지점찾기를 통해 가까운 금융지점을 찾아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관련뉴스 바로가기  https://meet2.kr/G8OMZi9

     

    서민금융진흥원, ‘미소금융’ 누적 지원금액 4조원

    서민금융진흥원은 저신용·저소득 계층을 위한 정책상품인 미소금융의 누적 지원금액이 4조원을 달성했다고 25일 밝혔다. 서금원이 관리하는 미소금융은 개인신용평점과 소득이 낮아 제도권

    meet2.kr

    미소금융의 효과

     

     

    미소금융은 저소득층의 소득 증대, 일자리 창출,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하는 것으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실제로 미소금융 지원을 받은 영세 자영업자들의 70%가 이상이 매출 증대를 보고 있으며, 10.8%가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했다는 조사 결과도 있습니다.

     

    결론

     

     

    미소금융은 한국의 포용금융 정책의 핵심 사업으로, 저소득층의 경제적 자립을 지원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앞으로도 정부와 금융기관, 시민사회가 협력하여 미소금융 사업을 더욱 확대하고 발전시켜 나가야 할 것입니다.

     

     

    관련글 더 보기

    2024.02.28 - [돈 버는 정보] - 대출 채무 회생 파산 조건, 절차, 비용 및 개인 채무 회생 파산 절차 성공 방법 알아보기

     

    대출 채무 회생 파산 조건, 절차, 비용 및 개인 채무 회생 파산 절차 성공 방법 알아보기

    "대출 채무 회생 파산 조건, 절차, 성공 팁" 대출 또는 빚 때문에 힘들고, 앞이 보이지 않는다면 개인 채무 회생 파산이라는 옵션을 고려해 보세요. 개인 채무 회생 파산은 법원의 도움을 받아 빚

    heaju.tistory.com

     

    2024.03.26 - [돈 버는 정보] - 신생아 주택 청약 특별 우선 공급 신혼부부 디딤돌 대출 개편 사항 알아보기

     

    신생아 주택 청약 특별 우선 공급 신혼부부 디딤돌 대출 개편 사항 알아보기

    "드디어 신생아 특별공급 제도 시행 및 청약 혜택 확대" 2024년 3월 25일, 2년 이내 출생 자녀가 있는 가구를 위한 신생아 특별·우선 공급 제도가 본격적으로 시행되었습니다. 이번 제도 개편은 결

    heaju.tistory.com